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철금속이란? 정의와 대표 금속 분류 정리

by 넥스트 저널.T 2025. 4. 1.

 

 

금속재료를 분류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기준 중 하나가 바로 철의 포함 여부입니다.
앞서 살펴본 철금속이 철을 주성분으로 한 금속이라면, **비철금속(Non-Ferrous Metal)**은 철을 거의 포함하지 않거나 전혀 포함하지 않는 금속을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철금속의 정의, 분류 방식, 주요 금속의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비철금속의 정의

 

비철금속은 철(Fe)이 주요 성분이 아닌 금속으로, 일반적으로 가볍고 내식성이 뛰어나며, 전기·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건축, 전기전자, 항공, 기계, 자동차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됩니다.

대표적인 비철금속에는 다음과 같은 금속들이 포함됩니다.

  • 알루미늄(Al)
  • 구리(Cu)
  • 아연(Zn)
  • 니켈(Ni)
  • 크롬(Cr)
  • 납(Pb)
  • 주석(Sn)
  • 티타늄(Ti) 등

 

2. 비철금속의 주요 분류 방식

 

비철금속은 일반적으로 경금속, 중금속, 귀금속 등으로 분류되며,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준으로 나뉩니다.

1) 경금속 (Light Metals)

비중이 5 이하인 가벼운 금속류

  • 대표 금속: 알루미늄, 마그네슘, 베릴륨 등
  • 특징: 경량화, 가공성 우수, 항공·운송장비에 활용

2) 중금속 (Heavy Metals)

비중이 5 이상인 비교적 무거운 금속류

  • 대표 금속: 구리, 아연, 납, 니켈 등
  • 특징: 내열성, 내식성 우수, 전기전자 및 기계부품에 사용

3) 귀금속 (Precious Metals)

경제적 가치가 높은 금속

  • 대표 금속: 금(Au), 은(Ag), 백금(Pt), 팔라듐(Pd)
  • 특징: 부식에 강하고 희소성 높음, 반도체, 장신구, 촉매 분야에 활용

4) 고융점 금속 (Refractory Metals)

녹는점이 2000℃ 이상인 고온 환경용 금속

  • 대표 금속: 텅스텐(W), 몰리브덴(Mo), 탄탈(Ta) 등
  • 특징: 내열성, 고강도, 고온 공정 장비 및 항공우주 산업에 적용

 

3. 비철금속의 산업적 활용

 

비철금속은 각각의 고유한 물성과 특성 덕분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 알루미늄: 항공기 구조물, 자동차 차체, 음료캔, 가전제품
  • 구리: 전선, 배선, PCB, 열교환기 등 전기전도성 활용 분야
  • 아연: 철강재 도금(아연도금강판), 부식 방지 코팅
  • 니켈: 스테인리스강 원료, 배터리 양극재, 내식성 합금
  • 티타늄: 인공관절, 항공기 엔진 부품, 해양 장비

 

4. 철금속과의 차이점 요약

 

구분철금속비철금속
주요 성분 철(Fe) 철 이외 금속
부식성 부식에 약함 대부분 내식성 우수
전도성 상대적으로 낮음 전기·열 전도성 우수
가격 저렴 상대적으로 고가
자성 있음 대부분 없음

 

마무리

 

비철금속은 철금속에 비해 내식성, 전도성, 경량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며, 다양한 산업군에서 필수적인 소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전기차, 항공,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함께 고기능성 비철금속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철강과 알루미늄을 비교하며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재료 선택 기준을 다뤄보겠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철금속이란? 대표 금속과 산업적 특징 정리